제러미 벤담 1748년 2월 15일 태생으로 영국의 법학자, 철학자, 변호사이다. 옥스퍼드 대학에서 배우고 변호사가 되었으나, 철학에 몰두하였다. 그는 당시의 법률을 모두 비판하고, 평생토록 이치에 맞는 성문법을 만드는 운동을 벌였다. 정치에서는 급진주의를 옹호했으며, 그는 당시 영국에 만연했던 보수주의적 정치와 '보수주의 법철학'을 반대했으며 영국 법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를 표방했다. 그가 공리주의에 끼친 영향은 막대한데, 그 까닭은 공리주의 체계에 큰 기여를 하였고, 존 스튜어트 밀(벤담의 제자 제임스 밀의 아들)과 같은 공리주의 철학자를 배출해낸 인물이기 때문이다. 정치에서는 공상적 사회주의의 시초인 로버트 오언을 배출했다. 벤담은 자유경제를 주장하..
루소의 자연으로 돌아가라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년 6월 28일 ~ 1778년 7월 2일)는 스위스 제네바 공화국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사회계약론자이자 직접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 계몽주의 철학자이다.루소는 원래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났지만 지금은 구속에 얽매여 있다고 했다.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말은 루소가 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실 그가 한 말은 아니다. 하지만 이 말에는 루소의 사상이 잘 담겨 있다.18세기 유럽은 매우 불평등한 사회였다. 그래서 루소는 이 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불러운 문명사회를 비판하며, 자유롭고 평화로운 작은 공동체를 꿈꾸었던 것이다.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루소는 성선설을 믿고, 루소가 ..
영국의 철학자 홉스는 누구인가? 토머스 홉스는 1588년 4월 5일 영국의 맘스베리에서 태어난 최초 정치철학자로 그의 어머니는 스페인의 무적함대가 영국을 침략해 온다는 소식을 듣고 놀라서 홉스를 조산했다고 하는 얘기가 전해진다. 그는 죽기 며칠 전까지도 또렷한 기억력을 가질 만큼 정정하게 여든한 살까지 장수했고, 17세기의 위대한 철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식의 확고한 토대를 탐구했는데 당시에 발전했던 수학과 물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홉스의 사회계약설이란? 토머스 홉스는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이고 악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자연상태에서는 어떠한 규범도, 윤리도 없었으며, 안전하지 못했다고 여겼다. 그런 상태에서는 사람들이 살아남기 위해 힘을 과시하고 서로 싸운다. 홉스는 이 상태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프랑스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1696년 3월 31일 프랑스 왕국 라에 엔 투렌이란 곳 고등법원 평정관이었던 조아생 데카르트와 잔 브로샤르 부부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마니는 결핵으로 데카르트를 낳고 얼마 안 가 죽었고, 데카르트 역시 어린 시절부터 건강이 안좋아 생명이 위태로웠지만 다행히도 살아 남는다. 학문적으로는 능력자였으나, 어머니에게 유전을 받은듯이 데카르트는 몸이 많이 약한편이였다. 그래서 아버지도 걱정이되어 그가 학교를 가고 싶다는 것을 말리고 강제로 집에서 쉬게 했다. 그래서 남들보다 늦게 학교에 입핬해 공부를 하는데 역시 몸이 약해 학교 수업을 제대로 듣지 못했다고 한다. 그런데 수업을 그렇게 듣지 못했어도 철하자들이 대두분 그렇듯 공부는 매우 잘했다. 그런 그의 재능을 본..
프랜시스 베이컨 철학자는 누구인가? 프랜시스 베이컨은 영국에서 1561년 1월 22일 태어났으며, 영국의 대표적인 철학자 및 정치인이다.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데카르트와 함께 근대 철학의 개척자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명언으로는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을 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번에 프랜시스 베이컨이 창시한 경험론과 네 가지 우상, 귀납법에 대해 알아보자. 프랜시스 베이컨의 고전 경험론이란? 중세에는 '신'이라는 절대적인 존재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 했고, 교황의 말이 진리였다. 이와 반대로 베이컨은 과학의 힘을 굳게 믿었다. 그래서 [뉴 아틀란티스]라는 책에서는 씨앗 없이 식물을 재배한다던가 에너지를 쓰지 않는 기계 등 과학의 힘으로 만든 낙원을 꿈꾸기도 했다. 중세에는 교황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