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주의와 그 한계

포드주의와 그 한계

앞서 다룬 조지 리처는 [햄버거 철학]에서 맥도날드의 예를 통해서 모든 사회영역에서 일상화되어 가는 '포드주의적 생산방식'을 비판합니다. 오늘은 포드주의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드주의란?

원래 포드주의란 20세기 초반 미국의 자동차왕인 헨리 포드가 자동차의 대중화를 가져온 모델 T를 생산하면서 노동자들에게 일당 5달러라는, 당시 임금보다 3배 정도 높은 임금을 지불한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포드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극단적인 분업에 기초하여 직무를 조각조각 나눕니다.

둘째,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기계장치에 노동자를 완전히 종속시켜 배치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을 보장합니다.

셋째, 쉼없이 돌아가는 컨베이어 벨트에 매인 노동자는 피로가 극심합니다. 그래서 포드주의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인한 노동자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에 대해서 높은 임금과 소비 수준을 제공함으로써 보상합니다.

 

즉, 오늘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들을 말합니다.


포드주의가 가져온 변화

대규모 생산체제에서는 수천명, 그리고 1만 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하나의 작업장에서 동시에 일하기도 합니다. 포드주의가 가져온 다양한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대규모 생산체제에서는 노동자들의 주거지역이 공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래서 통근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보급이 필수적이었습니다.

둘째, 노동이 컨베이어 벨트 등 기계장치에 종속되었으므로 피로가 극심했으며, 퇴근 후에 돌아오는 가정은 각종 내구소비재를 갖춘 안락한 형태의 표준주택이어야 했습니다.

셋째, 노동자들이 내구소비재와 주택, 자동차를 하루라도 빨리 구입할 수 있도록 은행 등 금융기관을 통해 신용카드를 비롯한 각종 형태의 소비자 신용이 제공되었습니다. 

 

즉, 포드주의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결합에 기초하여 세계 자본주의 경제의 황금시대를 이끌었습니다.


포드주의의 한계

그러나 포드주의는 내재적 한계에 부딪힙니다. 물론 1970년대 오일쇼크 때문에 생산에 타격이 있었지만, 포드주의의 기술적 기초를 이루는 노동조직 및 규율은 결국 노동자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힘으로써 생산성이 정체되기 시작했습니다.

아울러 노동자들의 안락한 생활을 위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의료서비스나 교육 등 집합적 소비는 원천적으로 표준화된 대량생산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집합적 소비를 위한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했고, 이것을 정부의 재정부담만으로 충당하는 데에는 큰 한계가 있었습니다.

 

더구나 대중의 소비패턴은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고 나자 다양성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포드주의의 '단일품종 대량 생산방식'보다는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자동차가 희소하던 시대에는 포드자동차의 검정색 모델 T만으로도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지만, 차츰 소비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개발해야 했습니다. 그러므로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유연 생산방식'이 필요하게 된 것이죠. 

유연 생산방식이란 생산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여러 종류의 제품을 가공, 처리할 수 있는 유연성이 풍부한 생산라인을 말합니다. 이처럼 포드주의는 변화에 직면하게 된 것입니다.


포드 핀토의 흑역사

1970년대 출시된 포드 핀토는 사고가 날 때마다 자동차가 폭발하는 일이 속출했는데, 원인이 연료탱크에 결함이 있어 뒤에서 자동차를 들이받게 되면 연료가 새어 나와 폭발하였습니다. 

피해자들은 이를 알고 소송을 제기했는데, 재판과정에서 포드는 이 사실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게 드러났습니다. 즉, 큰 결함이 있는 걸 알고도 리콜 비용을 저감 시키기 위해 묵인을 했었다는 것이죠.

 

이것으로 끝나지 않고, 2000년에는 포드에서 생산한 익스플로러, 머큐리 마운티니어 등 중형 SUV에 적용된 타이어 문제가 있었음에도 시장하지 않고 두었다가 1996년부터 고온 상황에서 트레드 분리로 인해 타이어가 빠지면서 전복 사고가 일어나는 일이 자주 발생해 217명이 죽고 800여 명이 부상을 입게 되면서 그에 따른 1,300만 개의 타이어의 리콜 조치와 미국에서도 자동차 리콜 강화법이 통과되었을 정도로 큰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